스테이블 디퓨전7: 프롬프트 표현(품질/작화/테마/시점)


개요

프롬프트 작성 방법에서 이미 언급했지만, 프롬프트에는 기본적인 작성 원칙이 있다는 것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배치 순서에 따른 가중치, 괄호 사용법 등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강조 표현, 품질, 작화, 테마, 시점, 인물 묘사를 위한 표현(태그)에 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네거티브 프롬프트에 많이 쓰이는 표현은 별도의 글로 작성할 생각입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6: 프롬프트의 작성 방법)


프롬프트 표현


강조 표현

  • extremely / hyper / ultimate / ultra / best / exceptional / remarkable: 강조하고 싶을 때 쓰는 표현


품질

  • masterpiece: 실사 이미지 생성 시 자주 쓰이는 표현
  • best quality / high quality: 고품질의 이미지, 반대로 네거티브 프롬프트에는 low quality를 넣어서 품질 저하 방지
  • hyper detail / intricate detail: 그림의 세부 묘사 품질을 올리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 High res / ultra high res: (초)고해상도의
  • bokeh: 아웃 포커스에 블러(blur)효과를 주는 것
  • DSLR: DSLR 카메라로 찍은 듯한
  • cinematic lighting / detailed lighting : 영화 같은 조명 / 세부적인 조명
  • beautiful lighting / warm lighting: 아름다운 조명, 따뜻한 색감의 조명
  • 4K / 8k / UHD: 전반적인 이미지의 해상도를 지정
  • photograph / photo realistic : 사진, 사진처럼 현실적인


작화(작풍)

  • painting / game CG / pixel art
  • nsfw (not safe for work): 노출이 심한 이미지
  • realistic / semi realistic / manga / cartoon: 실사, 반 실사, 만화, 카툰 그림체
  • gray scale : 흑백, 회색톤
  • monochrome: 단색의 이미지
  • animation / anime art / Japanese animation
  • Disney / cartoon / graphic novel


테마 및 도구

  • fantasy art / steam punk / diesel punk / cyberpunk
  • 1950s, 60s, 70s: 특정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그림체
  • art deco / art nouveau: 한 시대를 풍미했던 예술 사조
  • Romanticism / Renaissance / Baroque / Rococo: 낭만주의,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 양식
  • brush / acrylic paint / ink / color pencil / chalk / graphite(흑연) / pastel / oil painting / watercolor(수채화)


시점 관련

  • front focus / back focus: 각각 이미지 전면에 있는 대상과 후면에 있는 대상에 포커스를 맞춤
  • front view / back view 또는 behind view / side view: 각각 대상의 전면, 후면, 측면을 관찰하는 시점
  • view from front / view from back 또는 view from behind / view from side: 위와 동일함
  • view from above / view from below: 촬영자가 위에서 내려 보거나, 아래에서 올려다보는 시점
  • overhead shot: 바닥이나 침대에 누워 있는 대상을 묘사할 때 쓰는 태그
  • cowboy shot: 머리부터 허벅지까지
  • close up: 근접 촬영
  • upper body: 상체 위주
  • full body 또는 whole body: 전신을 묘사
  • looking at viewer: 피사체가 촬영자를 바라보는 구도
  • looking up / looking down / looking back: 피사체가 위/아래/뒤를 바라보는 태그


정리

이미지의 품질, 작화, 테마, 시점 표현에 관해 정리하였습니다. 다음에는 피사체를 세부 묘사하는 표현에 관한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