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디퓨전 4: UI(유저 인터페이스) 가이드


개요

지금까지 스테이블 디퓨전의 설치, 모델의 설치, 기본적인 사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관련 링크를 첨부하겠습니다.

이제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의 UI에 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UI 가이드

UI 종합이미지


체크 포인트 선택

좌측 최상단의 1번 박스는 이전에 다운받았던 Checkpoint를 선택하는 탭입니다. Checkpoint는 실사, 애니, 반 실사 등 생성하고 싶은 이미지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으니, 다운받으셔서 C:₩Stable-diffusion-webui₩models₩Stable-diffusion 폴더에 넣으시고 이미지 생성 전에 변경하시면 됩니다.

checkpoint 설정


프롬프트 입력

명령 프롬프트는 생성하고 싶은 이미지에 관한 설명을 넣는 공간입니다. 하단의 네거티브 프롬프트는 제외하고 싶은 표현을 집어넣습니다. 보통 bad anatomy, bad hands, worst quality, low quality, watermark 등의 표현을 많이 넣습니다. 우측의 Generate 버튼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버튼입니다.

프롬프트 창
<명령 프롬프트, 네거티브 프롬프트>


옵션

<옵션 전체화면>

상단의 탭에서 Checkpoint와 Lora의 선택이 가능합니다. Lora는 보통 명령 프름프트 작성 후에 선택하여 명령 프롬프트 끝에 넣습니다.


Sampling steps는 작업 횟수를 말하는 것으로, 스텝이 높을수록 이미지의 퀄리티가 좋아지는 대신, 생성 속도가 느려집니다. 보통 20~28을 많이 추천합니다. 컴퓨터의 성능이 좋다면 스텝을 늘려도 괜찮습니다. Sampling method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이미지 생성에 커다란 차이를 가져오지 않습니다만, 보통 Euler A를 많이 사용합니다.


Width와 Height는 그림의 가로·세로 해상도를 나타냅니다. 처음부터 고품질의 이미지를 뽑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화면 상단의 extras 탭에서 이미지를 업스케일링 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그림 사이즈는 512 x 512 또는 512 x 768을 추천합니다.


CFG scale은 값이 클수록 프롬프트에 충실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값이 낮으면 AI의 랜덤성과 창의성에 기반한 그림을 출력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바꿔가면서 비슷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싶다면, 11~12 정도의 값으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Seed의 디폴트 값은 -1입니다. -1은 완전히 랜덤이란 의미입니다. 만약에 기존에 생성한 이미지를 참조해서 다시 이미지를 그리고 싶다면, 이미지 생성 창 밑의 시드 번호를 복사하여 시드 창에 붙여 넣거나, 시드창 오른쪽의 초록색 재활용 버튼을 누릅니다.


Batch count는 순서대로 생성할 이미지의 숫자를 말합니다. Batch size는 동시에 생성할 이미지의 숫자를 말합니다. 동시에 생성하는 이미지의 숫자를 늘리면 이미지의 품질이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림을 여러 장 생성하고 싶다면, Batch count를 늘리고 Batch size는 1로 고정하여 사용합시다.


정리

이미지 생성 화면에서의 UI 및 옵션 설정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미지에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반복 생성 기능(img2img) 및 이미지 업스케일링 방법에 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