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디퓨전 1: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의 설치 방법 (로컬)


개요

명령어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Text-to-image AI이며, 흔히 WebUI라고 알려진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에 관심이 생겨, 기본적인 설치 방법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디스코드에 접속해서 바로 쓰는 미드저니와는 달리, 해당 컴퓨터 언어와 각종 오픈 소스 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해서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설치에는 두 가지 설치 방식이 있는데, 자신이 사용하는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로컬이라 칭해짐)과 외부 서버(예. 구글 Colab)에 설치하여 온라인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전자는 컴퓨터의 성능을 요구하고 후자는 월정액 결제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신의 컴퓨터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에 관해 설명하겠습니다.


설치 방법


Python 설치

우선 해당 링크로 가서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hon을 다운로드받고 설치합니다. 설치 시, 하단의 옵션을 모두 체크하고 install now를 누릅니다. Python 버전은 3.11.8 버전을 사용하였습니다. 현재 3.12.X 버전은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파이썬 설치


Git 설치

GitHub에 접속하려면 먼저 Git을 설치해야 합니다. 링크로 가서 Git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standalone을 데스크탑 용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64bit 버전을 다운로드받고, 모두 디폴트 옵션으로 설치합니다.

Git 설치


스테이블 디퓨전의 다운로드

Git을 설치했으므로 이제 GIthub에서 스테이블 디퓨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좌흑 하단의 윈도우 버튼 옆의 검색창에 cmd라고 입력합니다. 이제 명령 프롬프트가 팝업 됩니다.

명령 프름프트 열기


‘cd..’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릅니다. 다시 한번 ‘cd..’을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 C 폴더로 이동합니다. 이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git’

  1. C:₩users₩사용자명>cd.. 을 누르고 엔터를 입력합니다.
  2. C:₩users>cd..을 누르고 엔터를 입력합니다.
  3. C:₩>git clone https://github.com/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git를 누르고 엔터를 입력합니다.
    이제 스테이블 디퓨전이 C 드라이브에 다운로드 됩니다.
  4. 파일 탐색기를 열어 보면 C 드라이브에 스테이블 디퓨전이 다운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의 설치

C 드라이브의 Stable diffusion Webui 폴더로 들어갑니다. Webui-user.bat 파일을 실행하여, 스테이블 디퓨전을 설치합니다. 설치에는 꽤 오랜 시간이 소요되니 다른 일을 하시면서 기다리시기를 바랍니다.

설치가 끝난 후 명령 프롬프트 화면에서 ‘Running on local URL: http://xxx.x.x.x:xxxx’이라고 표시된 부분의 주소를 Ctrl+마우스 좌클릭하거나, 복사하여 브라우져 주소창에 붙여 넣고, 스테이블 디퓨전에 접속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을 실행할 때마다 Webui-user.bat 실행부터 동일한 과정을 반복해야 합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사용 시, 명령어 프롬프트 창은 끄지 않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의 설치
<명령 프롬프트의 IP 주소를 Ctrl+클릭하여 스테이블 디퓨전을 실행시킵니다.>
스테이플 디퓨전의 구동화면
<스테이블 디퓨전의 구동화면>


정리

스테이블 디퓨전 자체의 설치는 완료되었지만, 모델(일종의 플러그인)을 추가하여 그림의 완성도와 깊이를 더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heckpoint라는 모델은 전체적인 그림의 스타일을 정하는 AI의 두뇌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Lora는 기존 모델에 추가로 새로운 피사체를 이식·학습시키는 모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 글에서 기본적으로 많이 쓰는 모델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